2024/08/31 15

부산 영주동 복국

부산에서 먹어 봐야 할 것 3가지... 복국 돼지국밥 꼼장어  그중의 하나 복국.... 나름 유명한 부산복국을 비롯하여 복국의 강자들이 많은 부산이지만  밤새고 찾았던 이집의 맛을 잊지 못해 한번 더 찾아간다...  위치는 부산역에서 오른쪽으로 쭉 걸으면 예전의 러시아 거리 맞은편에 있다....   나름 맛있는 집 찾아다니기로 유명한 택시기사들의 입소문에 의해 유명한 집 ㅎㅎ 일단 참복국으로 주문하고 복껍질 또한 부탁드린다 ㅎㅎ   해장에는 그만이다 ㅎㅎ 그 시원한 맛이란 ㅎㅎㅎ  이래서 한국이 좋은 나라다...  먹을거 많지 놀곳 많지...  그래도 여행을 떠나는 나그네는 할말이 있다...  '떠나는 자만이 우리나라가 좋은 곳이란 걸 안다'

부산 여행...

한국의 바다.... 그 중 항구의 도시라고 불리는 해운대의 바다....  외국 어느 바다와 견주어도 밀리지 않는다...  그러나 규모면에서라면 밀리겠지....  이제 또 떠날 생각을 하니 갑자기 부산의 바다가 보고 싶어 졌다.... 매일 와인 마신다고 힘들어 하는 간을 위하여...  휴식이라도 가져 줘야한다... 떠나자...  ktx에 몸을 실는다...  참 한국 많이 변했다....  기차에서 영화 상영도 한다 ㅎㅎ  물론 피같은 내돈 7천원도 뺏아가지만 ㅎㅎ  애들이랑 보기에는 조금은 섬뜻하고 야한 영화 용서는 없다....  내용도 모르고 행버거랑 콜라 먹고 있다가 구역질 할뻔 했다....  제목에 시체 나온다고 해주던가 이런..... 그래도 돈주고 사온 햄버거라 그냥 다 먹기는 했으나 참 민망하고 거..

한국 2024.08.31

맛있는 와인과 음식의 페어링

Schramsburg Blanc de Noirs 06 (US) 포도품종Pinot Noir(피노 누아) 85%Chardonnay (샤도네이) 15%햇살을 담은 과실미가 그득하고 풀바디 면모를 지닌 한 마디로 매우 '맛있는' 스파클링 와인이다. 잘 익은 복숭아, 살구, 딸기, 오렌지 등의 향이 병을 오픈함과 동시에 풍부히 발현되며, 미묘한 효모의 느낌에서 찾아지는 복합성이 흐트러짐 없이 튼튼한 바디를 타고 좋은 여운으로 이어진다. 샴페인과 같은 방식(Methode Champenoise)으로 양조되고, 병 속에서 효모와 함께 3년간 숙성 후 출시된다. 블랑 드 누아는 적포도의 껍질을 벗기고 과육만으로 만든 화이트 와인을 의미하는데, 붉은 빛이 배지 않는 섬세한 압착, 적정 산도의 보전, 탄닌 유입의 최소화 등..

와인과 술들 2024.08.31

1998 Chateau Ducru-Beaucaillou Saint-Julien ( 1998 샤토 뒤끄르 보까이유 )

1998 Chateau Ducru-Beaucaillou Saint-Julien 포도품종Cabernet Sauvignon (까베르네 소비뇽) 65%Merlot (메를로) 25%Cabernet franc (까베르네 프랑) 5%petit Verdot (쁘띠 베르도) 5%라즈베리와 같은 붉은 과일과 광물질(mineral)의 탁월한 풍미를 보여주고 있다.  --------------------------------------------------------------------------------------------------------------------- 나에게 있어서 생줄리앙 와인의 특징은 좀 복합적이다... 특히나 보까이유가 그렇다고 해야 하나?  약간 베리류의 시큼한 느낌...  항상 마실때마다 느..

프리미엄와인 2024.08.31

Chateau Rieussec Sauternes 1998( 1998 샤토 리외섹 소테른)

포도품종Semillon (세미용) 95%Sauvignon Blanc (소비뇽 블랑) 3%Muscadelle (뮈스까델) 2%밝은 황금빛을 띠며, 사과, 파인애플, 열대과일, 꿀향이 짙다. 진하고 풍부하며 보트리티스와 스파이시한 캐릭터가 특징적이다. 풀바디하며, 기름지며 길고 달콤한 끝맛이 일품이다.  ---------------------------------------------------------------------------------------------------------------------- 우리네처럼 전체 요리와 디저트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 음식 문화에서 디저트의 의미는 단지 담소를 나누기 위한 수단일뿐이지만 유럽의 문화에서는 디저트의 의미가 남다르다...  특히나 메인 요리가 제 아..

프리미엄와인 2024.08.31